가치 전달자 2023. 2. 14. 12:11
728x90
반응형
SMALL
  • 목차
    • 1.Fritz Perls(1893-1970)의 생애
    • 2.인간관
    • 3.주요 개념
    • 4.신경증의 층
    • 5.부적응행동의 원인
    • 6.부적응 행동
    • 7.상담과정과 기술
    • 8.상담의 기법
    • 9.평가
  • 학습목표
    • 자기 인식 증가
    • 자신의 경험에 대한 주체 형성
    • 자기 욕구 충족의 기술 개발 및 가치관 형성
    • 모든 감각의 인식력 향상
    • 행동의 결과 수용 및 행동 결정의 책임이 자신에게 있음을 인정
    • 외적 지지에서 내적 지지로 변화
    • 타인의 도움 요구 및 타인에게 도움 줄 수 있도록 함
  • 1. Fritz Perls(1893-1970)의 생애
    • 1893년 : 베를린의 유태인 가정에서 출생, 독일에서 공부
    • 1920년 : Frederich Wilhelm대학교 - 정신과 전문의 자격, 의학박사(M.D.)취득
    • 1916년 : 독일군에 입대하여 1차 대전 중 군의관 복무
    • 1926년 : ‘뇌손상 군인들을 치료하는 골드슈타인연구소’ 근무 - 형태심리학의 전체주의설
    • 학위취득 후, 정신분석 훈련을 받음 - 라이히(Reich) : ‘신체를 통한 자기이해와 성격변화’ 연구에 관심
    • 1936년 : 정신분석연차대회 논문발표 (Freud의 냉대)
    • 1952년 : ‘뉴욕 형태치료 연구소’ 창설 – 워크숍, 세미나
    • 1964년 : 캘리포니아 ‘Esalen연구소’ 창설 - 훈련 프로그램
    • 1970년 : 캐나다 밴쿠버 섬에 ‘형태주의 공동사회’를 건설하던 중 중병으로 76세 별세
  • 2. 인간관
    • 인간은 통합적(전체적)으로 기능
    • 인간은 환경과 분리시켜 이해할 수 없음, 인간은 능동적 행위자
    • 인간은 자신의 감각, 사고, 정서, 지각을 완벽하게 자각하는 능력
    • 인간은 자각의 과정을 통해 선택할 수 있고, 행동에 대한 책임 짐.
    • 인간은 일차적으로 현재 상황에서 자신의 과거와 미래를 경험
    • 인간의 본성은 선하지도 악하지도 않음
  • 3. 주요개념
    • 1) 게슈탈트
      • 게슈탈트란 전체, 형태 등의 뜻을 지닌 독일어
      • 개체는 대상을 지각할 때 그것들을 부분들의 집합으로서가 아니라 하나의 의미 있는 전체 즉, 게슈탈트로 만들어서 지각.
      • 개인에 의해 지각된 하나의 의미 있는 전체가 게슈탈트인 것이다. 
      • 예를 들면 녹차를 마시고 싶은 것, 친구를 만나고 싶은 것 등 인간의 크고 작은 행동들이 모두 게슈탈트인 것이다.
    • 2) 지금-여기(Now and Here)
      • 게슈탈트 상담에서 가장 중요한 시제는 현재이다. 내담자가 과거에 경험했던 감정들을 지금-여기로 불러와 재경험함으로써 문제를 인식하고 해결하고자 한다.
      • 무엇으로 보이나요?
    • 3) 전경과 배경
      • 개인이 전경으로 떠올랐던 게슈탈트를 해소하고 나면 전경은 배경으로 물러나고 새로운 게슈탈트가 형성되어 다시 전경으로 떠오른다. 예를 들어 화가가 작업실에서 그림 그리기에 몰두할 때, 그림 그리기는 전경이 되고 그 순간 그 밖의 모든 일, 듣고 있던 라디오의 음악까지도 배경이 되는 것이다. 건강한 사람은 매 순간 자신에게 중요한 게슈탈트를 분명하게 전경으로 떠올릴 수 있지만 건강하지 못한 사람은 전경과 배경을 명확하게 구별하지 못한다. 
    • 4) 미해결 과제(Unfnished Business) 
      • 미해결 과제란 인간이 게슈탈트를 적절히 해소하지 못하여 배경으로 물러나지 못한 상태를 말하는데, 미해결 과제가 많아지면 욕구해소에 실패하게 되어 심리적, 신체적 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 
        • 예) 직장맘
    • 5) 자각과 접촉
      • 게슈탈트 상담에서 말하는 자각은 인간이 자신의 욕구나 감정을 지각한 다음, 게슈탈트로 형성하여 전경으로 떠올리는 행위를 말한다. 접촉은 이렇게 형성된 게슈탈트를 해소하기 위해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행위를 뜻한다.  
  • 4. 부적응 행동의 원인
    • 각성의 결여
      • 자기가 무엇을 원하며 어떻게 해야 할지 보다는 다른 사람에 의해 형성
      • 자아상에 따라 행동함-되는대로 삶을 살아가는 사람
    • 책임의 결여
      • 스스로에 대한 책임을 지려는 대신 외부에 의존하려 함
    • 환경과의 접촉상실
      • 개인이 너무 엄격해서 외부환경으로부터 어떤 투입도 수용하거나 융합될 수 없는 경우
      • 자신을 잃어버려 환경으로부터 모든 것을 그저 받아들임
    • 형태의 미완성
      • 개인이 형태 형성을 하지 못함으로써 미완성의 상태에 머무르는 것-원한, 선입견
    • 욕구의 부인
      • 사회적으로 용납될 수 없는 욕구들을 아예 인정하지 않고 없는 체 할 때
      • 분노, 공격성
    • 양극화
      • 자신을 자극하는 모습이 강하거나 약하거나와 같이 극과 극으로 양분된 것
      • 어느 한 쪽 극단에서만 자기를 바라보는 것
  • 5. 부적응 행동
    • 융합(confluence)
      • 자신과 환경 사이에 경계가 없음을 의미
      • 개체는 자신의 소망, 욕구, 감정을 자각하지 못하며 모든 사람과 느낌, 생각이 동일하다(갈등의 부재).
    • 내사(introjection)
      • 신념, 행동양식, 감정 및 평가의 무비판적인 수용
      • 외부의 것을 수용하려고 지나치게 노력하기 때문
    • 투사(projection)
      • 자신과 연관된 것에 대해 외부에 책임을 돌리는 경향
      • 자신에게 어렵거나 싫거나 매력이 없는 측면을 부정하며, 환경에 대해 상상하고 추측한다
    • 반전(retroflexion)
      • 타인에게 하고 싶은 행동을 자신에게 되돌리는 것이다.
      • 타인을 공격하기가 두려워서 자신을 공격한다.
    • 자의식(egotism)
      • 자의식은 내적으로 시험하고 생각하기 위해서 현실에 참여하는 것을 회피하며 거리를 둔다.
    • 편향(deflection)
      • 유머나 추상적인 일반화의 과도한 사용, 진술문이 아닌 의문문의 사용으로 정서적 접촉을 흐린다.
  • 6. 상담과정과 기술
    • 1) 기본적 절차
      • ‘여기 그리고 지금’에 대한 자각-실제 현재행동을 기초로 함, 내담자를 현재에 머무르게 함.
      • 욕구 좌절에 대한 내담자의 자각과 상담자의 촉진-개인이 어떤 심리적 욕구들이 충족되지 못함을 자각, 성격의 소외되었던 부분들에 대한 내담자의 자각을 회복시키는 것이 중요함.
      • 자아 통합의 촉진과 실현: 내담자가 성숙해가는3단계 자아통합 절차-발견, 조절, 동화
    • 2) 상담자에게 요구되는 태도
      • 관심과 감동능력
        • 내담자의 존재와 삶의 이야기에 흥미와 관심
        • 내담자의 이야기에 심취하고 감동할 수 있는 능력
      • 좌절과 지지
        • 내담자의 자립적인 태도나 행동은 격려와 지지함.
        • 의존적인 태도나 회피행동은 좌절시킴
      • 저항의 수용
        • 내담자의 저항행동은 상담자에 대한 불신 때문에 생김
        • 상담자가 이해심과 인내심을 갖고 내담자를 따뜻하게 대해 줌, 상담자 자신의 행동을 재검토
  • 7. 상담기법

  • 8. 평가
    • 1) 공헌점
      • 보다 직접적으로 단시간에 자기 각성을 시킴
      • 비언어적, 신체적 메시지에 주의를 기울이도록 하는 단서 제공
      • 자신의 새로운 면을 발견하도록 하는 연습과 실습
      • 현재 중심에서 과거와 미래를 재경험 하도록 도와줌
      • 자각을 통한 자신의 체험에 개인적인 책임감을 갖도록 함
    • 2) 비판점
      • 상담의 인지적 측면을 고려하지 않은 반지성적 관점
      • 상담 기법은 같은 대상과 문제에 따라 달라짐
      • 생활 자세는 위험하게 받아들여짐
      • 실제적으로 기술만 습득하여 기술로만 다룸. 상담자 자신은 성장하지 않으면 더욱 위험해 질 수 있음
  • 9. 마무리
    • 형태적 개념
      • Gestalt : ‘자신의 욕구나 감정을 의미 있는 조직화된 개체’ 펄스는 개인의 ‘전체성’ 혹은 ‘총체적 존재’의 의미로 ‘형태’
    • 전경과 배경의 개념
      • 지각 대상들은 전경(figure)과 배경(ground)으로 구조화되어 인간생활의 거의 모든 측면에 확장시켜 생각하게 됨
    • 미결 과제(미결 감정)
      • 개인은 일을 완전히 이루지 못하거나 불완전한 생활 경험들을 하게 될 때, 완결성을 추구하는 경향 때문에 불안을 느낌
    • 현재성
      • ‘지금-여기’에 대한 강조이며 현재의 순간을 완벽하게 이해하고 경험하며 음미하도록 함
참고 영상

https://youtu.be/BU8Ce8_qFGA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