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728x90
반응형
SMALL
  • 논리적 사고 능력 향상 지도
    • 사고력 훈련
      • 비판적인 사고
        • 사실, 이유, 지식, 널리 알려진 평가 등에 대해 문제 의식을 가지고 다시 생각하고 질문해 보는 사고
        • 어떤 사실이나 상황에 대해 판단하거나 평가하는 뇌의 기능
        • 표준과 근거에 의해 옳고 그름, 좋고 나쁨을 가릴 수 있다
        • 객관, 정직, 체계, 공정, 타당, 정확성 등 누가 보아도 정확한 기준에 의해 비판해야 한다.
        • 개성적인 반응이 아닌 객관적 반응, 속임수에 쉽게 넘어가지 않으며 정에 의해 판단하여 휩쓸리지 않게 된다.
        • 이것이 지나쳐 냉소주의(결점을 찾아내고 의심부터 함)로 가지 않도록 객관적으로 판단하는 것을 유지해야 한다.
        • 교육학자 콘블레스(conbles)
          • 비판적 사고는 부정적이지 않다
          • 비판적 사고는 필연적으로 그 성격상 평가적이다
          • 비판적 사고는 입증할 수 있는 사실과 가치 주장을 구별하는 것이다
          • 비판적 사고는 어떤 진술의 사실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다
          • 비판적 사고는 어떤 출처의 신뢰성을 결정하는 것이다
          • 비판적 사고는 애매한 주장이나 논증을 확인하는 것이다
          • 비판적 사고는 진술되지 않은 가정을 확인하는 것이다
          • 비판적 사고는 편견을 탐지하는 것이다
          • 비판적 사고는 논리적 오류를 탐지하는 것이다.
        • 책, 신문 등에서 사실을 확인한다.
        • 광고에서 과장과 허위를 찾아낸다.
        • 잘못된 표현이 없는지 생각해본다
        • 스포츠 비평을 읽는다
        • 내가 비평가가 되어본다
      • 분석적인 사고
        • 하나로 되어 있는 것을 구분하여 해석하는 것
        • 왜 분석을 할까 - 전체를 잘 보기 위해 분석을 한다
        • 분석적인 사고는 전체와 긴밀한 관계를 갖는다
        • 분석 : 하나의 대상을 여러 성분으로 나누어 그 부분들의 연관성을 설명함(얼굴)
        • 분류 : 공통 특징을 가진 부류를 묶어 설명하는 법(학용품의 종류)
        • 사건이 일어나기 전과 후를 생각하고 사건을 순서대로 나열해 본다.
      • 종합적인 사고
        • 한 가지 이상의 생각들을 비교하거나 대조해서 질문하거나 전체와 부분과의 관계를 생각하여 보는 것이다
        • 무조건 모으는 것이 아닌 각각의 생각들을 한 데 잘 어울리도록 모으는 것이 종합하는 능력이다.
        • 연상하기 게임(산)
        • 같은 주제끼리 모으기(같은 맥락)
      • 창의적인 사고
        • 결론이나 해결방법을 제시할 때 나만의 방법이 있어야 한다.
        • 새로운 생각을 해내고 문제를 새롭게 제시하며 새로운 대안을 형성해야 한다.
        • 기존의 방식으로 풀리지 않는 문제 상황에서 새로운 답, 이론, 기술, 작품, 아이디어, 해결책을 만들어내는 힘이다.
        • 주변의 문제에 민감한 반응을 보이고(민감성), 다양한 아이디어를 창출하고(유창성) 꼼꼼하고 치밀하며(정교성) 새로운 문제 해결을 시도하고(독창성) 오랫동안 집중할 수 있어야 한다(집중력)
        • 다른 사람이 잘 묻지 않거나 잘 대답하지 않는 답을 생각해 보는 힘이 필요하다.
        • 브레인 스토밍 : 자유롭게 이야기를 나눈다(혼자, 또는 집단), 절대 서로 비판하지 않을 것
        • 사물에 새로운 이름 지어보기(책상은 책상이다. 프린들 주세요.)
        • 다양한 경험하기
      • 추리적인 사고
        • 이미 드러난 정보를 종합하고, 논리적인 분석을 통하여 상상하고, 추리하는 사고를 동원하여 아직 모르는 사실을 미루어 판단하는 사고능력
        • 기존의 판단으로 새로운 판단을 이끌어내는 생각의 작용
        • 생각의 수준에서 가장 높은 단계로 강한 정신집중을 요구한다
        • 일반적으로 왜, 그래서, 무엇 때문에라고 의문을 갖고 질문할 때 길러진다.
        • 만약에, 반대로라면하고 사실을 뒤집어 볼 때도 길러진다.
        • 추리력이 지나치게 높으면 논리를 비약하여 다른 사람이 생각하지 못하는 세계를 이야기하기 때문에 오해를 받을 수 있다.
        • 논리적 사고를 바탕으로 하지 않는 추리력은 엉뚱한 결과를 가져온다.
        • 거론되어야 할 것인데 생략되어 있는 것이 무엇인지 살펴보자
        • 범인 찾기 게임, 숨은 그림 찾기를 한다
        • 왜라고 의문 품기, 그 다음에는, 그래서하고 질문하며 읽는다
        • 무엇 때문에, 나라면, 반대로라면 하고 생각한다
참고 영상

https://youtu.be/xHUYbSHrmmA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