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728x90
반응형
SMALL
  • 1. 독서심리상담의 관점
    • 독서심리상담은 다학제적 성격을 지니고 있음
      • 상담심리학적 측면
      • 문헌정보학적 측면
      • 정신의학적 측면
      • 문학적 측면
      • 교육학적 측면
    • 상담심리학적 측면
      • 상호작용적 독서치료 강조
      • 훈련된 상담자는 내담자의 감정과 인지적 반응을 통합하도록 돕기 위해 선택된 독서치료 자료에 대한 토론을 유도하고 이끌어 나감
    • 문헌정보학적 측면
      • 독서 자료 강조
      • 독서치료란 상담자가 선정된 독서 자료를 가지고 내담자의 정서적인 문제를 치료하는 것이며, 전문적인 지식과 훈련을 쌓은 사서의 협조를 얻어 기술적으로 독서 자료가 처방되어야 함 - 테우스(1932)
    • 정신의학적 측면
      • 정신치료의 보조 수단
      • 독서치료란 정신의학과 심리학분야에서 치료의 보조수단으로 읽기자료를 선정하고, 지시 받은 대로 읽음으로써 개인적인 문제를 해결하도록 안내
    • 문학적 측면
      • 문학작품의 치유성 강조
      • 문학작품이 개인으로 하여금 상상 속에서 다양한 행동들을 하고 그 결과들을 경험해보도록 한다 - 자카리아와 모세(1968)
      • 광의로 문학치료는 인생의 목표를 설정하거나 삶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삶의 대체물로 이해
    • 교육학적 측면
      • 발달과정에서의 성장 강조(독서지도사와 유사점)
      • 전반적인 발달을 위해 책을 사용하며, 책은 독자의 성격을 측정하고 적응과 성장, 정신적 건강을 위해 사용되기도 하는데 그 책과 독자 사이의 상호작용 과정
  • 2. 독서심리상담의 발전과정
    • 독서심리상담의 시작
      • 독서치료의 역사는 고대 그리스 시대부터 시작
        • 영혼을 치유하는 장소(고대 그리스 테베도서관)
        • 영혼을 위한 약 상자(중세 스위스 세이트 갈의 대수도원 애비 도서관)
    • 독서심리상담의 발전 초기
      • 18세기 말까지 유럽에서 마음이 아픈 사람을 치료하는데 책을 사용
      • 독서치료의 본격적 연구는 20세기 미국을 중심으로 발달
    • 미국의 독서심리상담
      • 종교적인 영향
      • 전쟁(1, 2차 세계대전)에 의한 영향
      • 정신의학과 심리학의 발달
      • 도서관(병원, 일반)의 발달
        • 20세기 병원 도서관을 중심으로 발달
          • 1904년 미국 맥린(Mclean) 병원도서관에서 환자 치료에 전문가인 사서가 임명
          • 1950년 최초의 박사학위 논문(슈로즈)에서 이론과 임상 다룸
        • 20세기 후반 시치료 발달
          • 1959년 미국 브루클린 병원에서 시치료 집단 조직
          • 독서치료 관련 잡지, 워크숍, 참고도서 목록 등 다양화
          • 시치료가 지속적으로 성장하여 대중화
    • 일본의 발전과정
      • 일본에는 1937년 처음 소개되어 1950년 본격적 연구 시작
        • 사카모토 이치로의 '독서지도'
        • 부적응아동을 책으로 치료
      • 일본 독서치료 연구 흐름
        • 학교에서 학생 대상으로 인성과 생활 지도
        • 비행 청소년 교정
    • 우리나라의 발전과정
      • 한국에는 1964년 처음 소개되었고 1970년대 후반부터 이루어짐
      • 90년대 말부터 대중화되어 2000년대에 확산
        • 1999년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안에 독서치료연구회 결성
        • 2003년 분과 모임이 한국독서치료학회로 발족
      • 독서치료 시행기관
        • 공공도서관
        • 학교(초, 중학교 방과 후 프로그램)
        • 청소년시설, 교육시설
        • 사회복지관(노인복지관 등)
        • 쉼터(성폭력, 가정폭력, 가출청소년, 노숙자 등)
        • 교회, 병원, 상담센터 등
    • 독서심리상담의 발전과제
      • 문헌정보학, 교육학, 심리학, 상담학, 문학 등 학제간 연구 확대
        • 효과성 높은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학제간 연구 활성화 필요
      • 다양한 독서치료 프로그램 개발
        • 아동, 청소년, 성인, 노인 등 프로그램 다양화
        • 주제별 프로그램 다양화
      • 독서치료 상담사례 발굴 및 공유
        • 사례발표, 워크숍, 세미나, 출판 등 사례발굴 활성화
      • 독서치료 전문상담사 양성
        • 상담 전문성, 독서 정보, 내담자 이해 등 전문성을 갖춘 상담사 양성
참고 영상

https://youtu.be/Bs27iItbTpE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