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728x90
반응형
SMALL
  • 목차
    • 1. William Glasser(1925- )의 생애
    • 2. William Glasser & 발달배경
    • 3. 원리와 기본가정
    • 4. 인간관
    • 5. 주요개념
    • 5. 치료기법과 절차
    • 6. 상담기법
    • 7. 평가
  • 학습목표
    • 현실치료의 인간관에 대해서 안다.
    • 현실치료의 상담기법에 대해서 배운다.
  • 1. William Glasser(1925- )의 생애
    • 1925년 : 오하이오주 클리브랜드에서 출생 공업전문학교 졸업, 화공기사가 됨
    • 1948년 : 임상심리전문가가 되었고, 케이스 웨스턴 대학교에서 의학을 공부
    • 1953년 : 정신과 의사가 되었고, 재향 군인병원에서 수련, 전문 과정 밟음
    • 1963년 : 캘리포니아 공립학교의 자문위원 초등학교 실정에 맞는 현실요법을 적용한 치료적 접근으로 ‘낙오자 없는 학교 만들기’에 전념함
    • 1964년 : 4월에 ‘Realistic therapy: A realistic approach to young offender’ 논문에서 현실치료라는 용어를 공식적으로 사용
    • 1965년 : ‘Realistic therapy: A new approach to psychiatry’를 저술하여 개념들을 발전시킴
    • 1967년 : 로스엔젤레스에 현실치료연구소를 개설하여 현재까지 연구소의 소장과 재단운영위원장으로 재직
    • 1996년 3월 : 통제이론을 선택이론으로 개명
  • 2. William Glasser & 발달배경
    • 1925년 오하이오주의 클리블랜드에서 태어나 공업전문학교를 졸업. 19세에 화공 기사(chemical engineer)가 되었으나, 심리학에 관심을 기울이면서 23세에 임상심리 전문가가 되었다.
    • 그 후 오하이오주 클리블랜드에 있는 Case Western Reserve University에서 의학을 공부하고, 28세가 되던 해에 정신과 의사가 되었고, UCLA와 로스앤젤레스의 재향군인병원에서 정신과 수련의 과정과 전문의 과정을 밟았는데, 그동안 전통적인 정신분석치료방법으로 훈련 받을 수 밖에 없었다.
    • 그러나 그는 정신분석치료의 이론과 기법, 효과에 불만족을 느끼게 되면서 오늘날의 현실치료를 발전시켰다.
    • 현실치료라는 용어가 공식적으로 사용되었던 것은 1964년 4월 ‘Reality Therapy: A Realistic Approach to the Young Offender’ 라는 논문을 통해서였다.
  • 3. 원리와 기본가정
    • 인간은 자신의 욕구와 바람을 충족하기 위해 행동을 한다.
    • 개인이 경험하는 환경으로부터 얻어진 지각 현상과 자신이 원하는 것과의 차이는 행동 유발의 원인이 된다.
    • 활동하기, 생각하기, 느끼기와 생리적 기능으로 이루어진 인간의 전행동(total behavior) 에는 목적이 있다.
    • 원리로는 활동하기, 생각하기, 느끼기, 생리적 기능은 분리될 수 없는 행동 요인들로써 개인의 내부로부터 생성되며 대부분이 선택이라는 것이다.
    • 원리는 인간은 지각을 통해 세상을 본다는 것이다.
  • 4. 인간관
    • 인간은 긍정적이며, 자신의 행동과 정서에 대해 책임을 지는 결정론적 존재다.
    • 5가지 기본 욕구(생존, 사랑과 소속, 힘, 자유, 즐거움)를 가지고 태어남.
    • 행동은 기본 욕구 충족을 위해 선택한 것임(선택이론). 문제행동(우울, 신경증적 정신병적 행동, 정신신체화 행동이나 중독 관련 행동 모두)도 선택한 것임.
    • 인간은 누구나 자신의 좋은 세계를 추구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기 때문에 진정한 의미에서의 패배적 정체감, 실패라는 개념은 없다
  • 5. 주요개념
    • 1) 선택이론
      • Glasser는 처음에 현실치료의 이론적 틀로 통제이론(control theory) 입장을 취했다. 통제 이론은 모든 유기체가 자신의 목적에 따라 외부세계를 통제하기 위해 어떻게 행동하는가를 설명하는 이론이다.
      • 즉, 이 이론에서는 모든 행동이 목적을 가진다는 것과 어느 누구도 다른 사람을 통제할 수 없다는 것을 강조한다. 따라서 현실치료에서는 우리 자신의 기본 욕구를 충족시키려는 목적에서 인간의 모든 행동이 나타나는 것으로 본다.
      • 최근 Glasser는 통제이론보다 선택이론(choice theory)이란 말을 사용한다. 선택이론에서는 ‘우리가 통제할 수 있는 유일한 행동은 우리 자신의 행동이다’라는 명제에 토대를 둔다.
      • 이 이론에서는 개인의 자유를 강조하기 때문에 개인이 느끼는 우울 등 흔히 정신질환으로 여겨지는 행동까지도 선택한 것이며, 보다 만족스러운 어떤 것을 선택할 선택권을 갖는다고 본다.
      • 선택이론에서는 우리 인간이 생존, 소속감, 힘, 자유, 즐거움 등 다섯 가지 기본 욕구를 가 지고 태어나며, 이 다섯 가지 기본 욕구에 따라 인간은 행동한다고 믿었다.
    • 2) 기본욕구
      • Glasser(1965)가 가정하는 다섯 가지 기본 욕구는 소속감, 힘, 즐거움, 자유라는 네 가지 심리적 욕구와 생존이라는 생리적 욕구이다.
        • 소속감(belonging) 욕구 : 소속감 욕구는 사랑하고, 나누고, 돌보고, 협력하고자 하는 속성으로서 가정, 또래집단, 학교, 직장, 사회에 소속되어 다른 사람과의 관계를 유지하면서 사랑을 주고받고자 하는 인간의 속성을 말한다. 예를 들어 가족관계, 교우관계, 또래관계, 우정, 사랑, 직장동료관계, 지역 사회, 각종 모임이나 집단에 참여하고자 하는 욕구이다.
        • 힘(power) 욕구 : 힘 욕구는 경쟁하고, 성취하고, 중요한 존재이고 싶어 하는 속성으로서 성취감, 존중감, 인정, 능력 등을 말한다. 이러한 힘 욕구의 충족을 위해 다른 사람과 서로 통제하려고 하다가 관계가 악화되거나 파괴되기도 한다. 그 예로는 가정에서 부모-자녀관계, 또래관계, 부부 관계 속에서의 갈등, 혹은 직장에서 승진으로 인한 문제
        • 즐거움(fun) 욕구 : 즐거움 욕구는 새로운 것을 배우고 놀이를 통해 즐거움을 추구하고자 하는 속성을 말한다. 이 즐거움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생명의 위험도 감수하면서 자신의 생활양식을 과감히 바꾸어 나가는 것을 볼 수 있는데, 그 예로는 암벽타기, 번지점프, 자동차경주 등을 들 수 있다.
        • 자유(freedom) 욕구 : 자유 욕구는 이동하고 선택하는 것을 마음대로 하고 싶어 하는 속성으로 선택, 독립, 자율성 등을 의미한다. 이러한 자유 욕구는 개인 그 자신이 하는 선택을 통해 충족된다. 이는 각자 원하는 곳에서 살고 대인관계와 종교활동 등을 포함한 삶의 모든 영역에서 자신의 생활방식을 선택하고 마음대로 의사표현을 하고 싶어 하는 욕구를 말한다. 하지만 자신의 욕구 충족에 있어서 다른 사람들의 자유를 침범하지 않도록 타협과 양보를 통해 사람들과 함께 살아갈 수 있는 절충안을 찾아야 한다.
        • 생존(survival) 욕구 : 생존 욕구는 인간의 가장 기본적이고 생리적인 욕구로서 살고자 하는 생식을 통한 자기 확장을 하고자 하는 속성을 말한다
    • 3) 전(全)행동
      • 인간의 전행동(total behavior)이란 모든 행동이 분리될 수 없지만 구별되는 네 개의 구성 요소, 즉 행동하기(doing), 생각하기(thinking), 느끼기(feeling), 생리적 반응(physiological reaction)으로 구성되어 통합적으로 기능하는 행동체계를 말한다.
      • Glasser(1998)에 따르면 모든 행동은 선택되지만 직접적인 통제는 ‘행동하기’와 ‘생각하기’에 제한된다. 특히 ‘행동하기’ 는 거의 완전한 통제가 가능하기 때문에 현실치료에서는 ‘행동하기’가 중시된다. ‘생각하기’ 또한 비교적 통제가 쉬운 편이다. 이에 반해 ‘느끼기’와 ‘생리적 반응’은 직접 통제하기 어렵기 때문에 사람들이 생각하고 행동하기 위해 선택한 방법에 의해서 간접적으로 통제될 수 있다.
      • 행동 선택을 자동차에 비유한다면, 엔진은 우리 인간의 다섯 가지 기본욕구이며, 핸들은 바람(want)으로서 가고자 하는 세상으로 우리를 인도한다. 또한 ‘행동하기’와 ‘생각하기’는 앞바퀴로서 자동차를 이끌며, ‘느끼기’와 ‘생리적 반응’은 뒷바퀴로서 앞바퀴를 따라간다. 뒷바퀴가 독자적으로 혹은 직접적으로 방향을 잡지 못하는 것처럼 ‘느끼기’와 ‘생리적 반응’은 우리가 직접 선택할 수 없는 것이다. ‘느끼기’와 ‘생리적 반응’을 직접적으로 선택할 수는 없지만 간접적으로 선택할 수는 있다.
    • 4) 3R
      • 책임감(Responsibility)
        • 현실치료의 기본이 되는 것은 개인적 책임이다. 즉 개인적 책임을 지지 않는 데서 개인에게 문제가 생긴다고 보고 있다.
      • 현실(Reality)
        • 현실치료에서 책임을 받아들인다는 것은 곧 개인이 현실을 직면해야 함을 말한다. 개인이 책임을 져야 하는 모든 행동은 현실에서 일어나기 때문에 내담자는 현실 즉, 현재 행동에 직면해야 한다.
      • 옳거나 그름(Right or wrong)
        • 이는 개인의 기본적 욕구를 충족시키는 행동을 하는데 있어 도덕적 판단이 있어야 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현실치료에서는 타인에게 해가 되지 않는 옳은 판단을 통해 자신의 욕구를 충족할 것을 강조한다.
  • 6. 상담과정과 절차
    • 현실치료의 상담과정에 대해 Wubbolding(1991)은 ‘WDEP’라는 말로 설명하였다. WDEP 에서 각 철자는 다음과 같은 단계를 의미한다.
    • 치료목표
      • 기본 욕구를 충족하는 데 효과적인 행동을 선택하도록 돕는 것 → 성공정체감 형성 돕기
      • 자신의 행복세상에서 자신이 선택한 사람들과 만족스러운 관계를 갖도록 도와주는 것
      • 개인의 자율성을 신장, 행동의 변화,
      • 스스로 선택한 것에 책임을 갖도록 함
    • WDEP 체계(질문을 사용함)
      • W(Want) : 욕구, 요구, 지각의 탐색 (무엇을 원하는가? 너의 삶이 어떻게 되기를 바라는가?)
      • D(Doing) : 현재 행동 점검 (지금 무엇을 하고 있는가? 지금 하고 있는 것은 무엇을 위해 하는가?)
      • E(Evaluate) : 행동(가고 있는 방향) 평가 (그런 행동을 계속 하면, 어디로 갈 것인가? 그리고 원하는 것을 얻는 데 도움이 되는가?)
      • P(Plan) : 계획 수립 (무엇을 언제부터 하면, 자신이 원하는 것을 얻게 될까? 그리고 가고 싶은 곳으로 가게 될까?)
    • 1) 욕구 탐색(Want) 단계
      • 이 단계에서 상담자는 내담자에게 “무엇을 원합니까?”라고 질문함으로써 자신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방법을 발견할 수 있도록 한다. 내담자가 자신이 원하고 있는 것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질문에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을 수 있다.
        • “당신이 되고 싶었던 사람이 되었다면, 당신은 어떤 사람이 되어 있겠습니까?”
        • “당신과 가족들이 원하는 것이 다 이루어져 있다면, 지금 당신의 가정은 어떤 모습일 것 같습니까?”
        • “당신이 원하는 방식대로 살고 있다면, 당신은 지금 무슨 행동을 하고 있겠습니까?”
        • “진정으로 당신의 삶을 변화시키기를 원합니까?”
        • “원하는 마음은 크지만 삶에서 얻을 수 없는 것으로 보이는 것은 무엇입니까?”
        • “당신이 원하는 변화를 막고 있는 것이 무엇이라 생각합니까?
    • 2) 현재 행동 파악(Doing)
      • 현실치료는 현재 행동을 강조하고 과거 사건에 대해서는 내담자가 지금 행하고 있는 행동에 영향을 끼칠 때에만 관심을 갖는다.
      • 이 단계는 상담자가 상담 초기에 내담자로 하여금 자신이 어디로 가고 있는가를 탐색하도록 도와주는 단계이며, 이 때 상담자는 내담자에게 “당신은 현재 무엇을 하고 있습니까?”라고 질문한다.
      • 이는 내담자의 전행동(total behavior)에 대한 인식을 획득하는 것에 초점을 둔다.
    • 3) 평가하기(Evaluating)
      • 이 단계는 내담자의 행동과 욕구와의 관계를 점검해 보고 내담자 스스로 자기평가를 하게 하는 단계이다.
        • “당신이 하는 행동은 당신에게 도움이 됩니까 아니면 해가 됩니까?”
        • “당신이 지금 하고 있는 행동은 당신이 하고자 하는 행동입니까?”
        • “당신이 하고 있는 행동과 당신의 신념이 서로 일치합니까?”
        • “당신이 하고 있는 행동은 당신이 설정한 규칙에 어긋납니까?”
        • “당신이 원하는 것은 현실적이며 달성할 수 있는 것입니까?”
        • “그러한 방식으로 보는 것이 당신에게 도움이 됩니까?”
        • “당신은 상담 과정이나 생활 변화에 얼마나 열심히 노력했습니까?”
        • “당신이 주의를 요하는 것을 검증하고 난 후 당신이 가장 흥미롭게 여기고 타인이 가장 흥미롭게 여기는 것이 나타납니까?”
    • 4) 계획하기(Planning)
      • 이 단계는 내담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다. 내담자가 계획을 세우고 실천하는 과정을 통해 자신의 생활을 효과적으로 통제하고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만약 계획이 어떤 이유에서건 효과가 없다면 상담자와 내담자는 함께 다른 계획을 수립한다.
      • Wubbolding(1991)은 효율적인 계획을 수립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을 ‘SAMIC3’로 표현하고,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 Simple: 계획은 단순.
        • Attainable: 계획은 도달.
        • Measurable: 계획은 측정.
        • Immediate: 계획은 즉각적.
        • Controlled: 계획은 계획자에 의해 통제.
        • Consistent: 계획은 일관성.
        • Committed: 계획은 이행하겠다는 열성.
  • 7. 상담기법
    • 1) 질문
      • 현실치료에서 상담자의 질문은 내담자의 전행동 탐색, 욕구 파악, 현재 행하고 있는 행동 파악, 평가, 계획 수립을 촉진한다.
      • Wubbolding(1988)에 따르면 현실치료에서 질문은 내담 자가 자신의 내면세계에 들어가고, 정보를 수집하며, 정보를 제공하고, 보다 효과적으로 통제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 2) 직면
      • 직면은 내담자의 행동에 대한 책임을 지도록 하면서 내담자의 변화를 촉진하는 방법이다.
      • 상담자는 내담자가 자신의 욕구 달성과는 불일치한 행동을 할 때 직면을 통해 내담자가 선택한 행동에 대해 책임을 지도록 하고 새로운 계획을 수립하도록 한다
    • 3) 동사와 현재진행형으로 표현 :
      • 현실치료에서는 내담자가 자신의 삶을 스스로 통제할 수 있으며 자신의 전체행동을 선택할 수 있다는 인식을 심어 주는 것이 중요하므로 ‘우울한’, ‘불안한’과 같은 형용사로 묘사하기보다는 ‘화를 내고 있는’ ‘우울해 하고 있는’ 등과 같이 표현한다
    • 4) 긍정적으로 접근:
      • 긍정적인 것에 초점을 두고 내담자가 할 수 있는 것을 안내한다
  • 8. 현실치료의 평가
    • 1) 공헌점
      • 치료기간이 짧고 의식적인 현재의 문제행동을 직접적으로 다룬다는 점
      • 내담자 자신의 책임을 강조한 점
      • 비행청소년 집단과 그들의 부모, 교사집단, 범죄집단, 위기상담에 적합
      • 내담자 자신이 변화된 정도를 스스로 평가하도록 하는 상담구조를 제공한다는 점
    • 2) 비판점
      • 내담자의 어떤 문제를 조정하는 정도의 단순하고 피상적인 형태가 될 수 있다
      • 현재의 행동을 변화시키는데 내담자의 과거와 무의식의 가치를 무시
      • 상담 절차가 실제로 적용된다는 주장을 정당화하기에 실험적인 연구가 부족
  • 9. 마무리-현실치료의 특징
    • 현재와 현실 지각 중시, 현실 안에서 새롭고 합당한 행동 선택 중시 현실 책임능력의 강조(선택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함)
    • 전이의 거부 : 상담자/치료자나 내담자가 현재에 대한 책임을 회피하기 때문
    • 현재에서의 상담 유지 : 과거를 재경험하는 것은 현실 문제를 피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
    • 증상에만 관심 기울이지 말 것 : 내담자의 증상에 관심을 가지면, 자신의 증상에 대해서 끊임 없이 불평할 것임
참고 영상

https://youtu.be/ZsD-KKMbF00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