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728x90
반응형
SMALL
          •  
  • 1. 후기 가족상담 이론의 특징
    • 1) 1980년대 이후 새로운 방향의 전개
      • ㄱ) 경계의 무너짐
        • 여러 학파 간 경계가 무너지게 됨
          • 경험이 풍부해지면서 서로 다른 기법을 빌려오게 됨
          • 특수한 문제와 대상에 따라 개개인에 맞는 기법이 필요하다는 인식의 전파
          • 모든 것에 들어맞는 한 가지 치료방법은 존재X
        • 혼돈되고 불확실한 시대
          • 순수 이론 모델이 내담자 욕구에 항상 적절할 수는 X
          • 가족 치료시 자원을 공유하여 가족을 다루게 됨
      • ㄴ) 탈근대주의
        • 전문가로서 가족의 문제를 파악,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라고 본 입장에서 변화가 일어남
          • 진리의 타당성, 절대성에 대한 의심이 생기게 됨
          • 일상적 의식과 현실을 넘어선 다른 실재가 있다는 것
          • 근대주의의 자기과신에서 오는 오만에 대한 회의
      • ㄷ) 페미니스트의 비판
        • 여성들은 매일의 일상 속에서 계속 문제에 봉착하고 있다.
          • 지나치게 여성이 자녀에게 관여하고 정서적으로 불안정한 것은 정서적 고립, 경제적 의존, 책임 등에 의한 것이다.
          • “비록 남자들도 이젠 울 수 있지만, 남자들은 울 일이 별로없다” (By Rachael Hare-Mustin)
          • 그 이전의 가족치료적 관점은, 여성이 증상에 기여했다라는 비난이며, 가족의 재조직을 통해 남성이든 여성이든 불안전한 위치에 있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 ㄹ) 사회구성주의와 이야기 혁명
        • 우리가 경험하는 실재는 사회적/언어적 상호작용을 통해 구성된다 라고 보는 시각
          • 가족/관계를 어떻게 경험하는지, 경험의 세계에서 어떤 의미를 부여하고 어떻게 구성하는지 파악하는 것이 문제 해결과정에서 중요하게 됨
          • 상담자는 내담자보다 더 많이 알고 있는 전문가가 아니다
          • 내담자의 경험세계를 재창조하는 과정에 협력해야 할 동반자이다
          • “알지 못하고 있다(Not-knowing)”의 자세가 필요”
      • ㅁ) 해결중심치료의 인기 급상승
        • 보다 실용주의적 관점의 도입
        • 정신건강 의료기관의 예산 삭감, 의료보험 혜택의 축소
          • 단기적 접근에 대한 욕구 증가
          • 문제중심적인 대화에서 벗어나 문제해결에 효과가 있는 것과 앞으로 효과가 있을 것에 대한 “해결중심적 대화”가 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관점의 대두
          • 해결중심치료의 시작
          • 해결에 초점 맞추는 것을 통해 문제 제거가 가능하다는 것
          • Steve de Shazer & Insoo Kim Berg
      • ㅂ) 가정폭력의 수면 위 상승
        • 사회에서 부인해오던 가정폭력의 실태가 1990년대부터 드러나기 시작함
          • 18세 이전에 성적 학대를 경험한 여성은 전체의 37%, 6명 중의 1명이 같이 사는 남자로부터 성 학대를 받음(By Judith Myers Avis)
          • 그 이전의 중립적 위치를 취하던 가족상담이론에 대한 비판
          • 서로 분노를 돋구고 상승작용이 오갈 때 순환적인 패턴에서 벌어지는 가정폭력의 문제를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
          • 어린이 학대의 문제는?
      • ㅅ) 다문화주의 확산
        • 서로 다른 민족이 가지고 있는 가치와 구조, 특성에 대한 존중이 점점 더 필요해짐
          • 내담자 가족의 민족에 대한 이해가 필요
          • 다르다고 해서 건강하지 못하다라고 판단할 수 없다
      • ㅇ) 인종차이/동성애/빈곤에 대한 고려
        • 가족상담을 하는 상담사 자신이 내면의 성찰을 통해, 인종/계층/빈곤/동성애 등에 대한 자신의 태도를 똑바로 인식하고 알아차리는 것이 필요
      • ㅈ) 영성에의 관심 증대
        • 현대인의 삶의 소외와 공허함의 증가 → 영성/종교에 대한 관심의 증가
      • ㅊ) 대상과 문제에 적합한 치료의 탐구경향
        • 내담자의 욕구에 접근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 한 가지 학파에 매이기보다는 특정 문제, 가족 유형을 어떻게 다룰 것인가가 중요
        • 체계론적 사고의 확장 → 공공기관, 학교, 가족 외부의 조력자들과 같은 큰 체계가 가족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시작
  • 2. 포스트모더니즘, 2차 사이버네틱스, 후기 구조주의 모델
    • 1) 포스트모더니즘
      • 1980년대부터 문학, 예술, 문화 전반에 나타난 시대정신
        • 다양성, 차이, 비 본질주의 강조
        • 탈 이성적 사고, 다원적인 사고 강조
        • 인간이 각자의 관찰과 인식을 통해 서로 다른 우주에 살고 있다라고 간주
        • 보는 시각에 따라 달라진다라는 것
    • 2) 2차 사이버네틱스
      • 1차 사이버네틱스의 한계를 넘어 피드백 과정에 여러 수준이 있을 수 있음을 강조
        • 체계는 자율적, 자기 조작적
        • 인간 체계는 언어와 의사소통을 통해 자기 조직체를 유지
        • 가족치료에 있어 개인이 구성하는 ‘의미의 세계’에 주목
        • 상담적 개입은 상담자가 개인/가족의 변화를 일으키는 것이 아니라, 개인/가족의 ‘구조적 결함’에 의해 결정되는 것
    • 3) 후기 구조주의
      • 철학이나 사회과학에 나타난 포스트모더니즘 현상
        • 환원주의 관념에 대한 거부 : 구조는 구성요소로 분해할 수 있다는 관념에 대한 거부.
        • 기존 철학이 추구해온 절대적, 객관적 진리는 정치적, 사회적 권력에 의한 담론일 뿐이라는 입장
        • 구조를 해체시킨 해체주의 입장
  • 3. 구성주의와 사회 구성주의, 울트라 모더니즘 가족상담 모델
    • 1) 구성주의와 사회구성주의
      • ㄱ) 구성주의 : 인지생물학에 뿌리를 두고 생명체의 특징인 조직의 패턴 구성
        • 객관적 실재는 존재X, 실재는 각 개인이 구성하는 것
        • 동일한 상황이라도 개인마다 다르게 해석하게 된다는 것
      • ㄴ) 사회구성주의 : 실재에 대한 지식을 구성하는 과정에서 상호작용의 영향력에 초점을 둠
        • 내담자 주관적 현실과 언어적 상호작용에 따라 실재가 다름
        • 이야기치료의 기반
    • 2) 울트라모더니즘 가족상담
      • ㄱ) 울트라모더니즘 : 급변하는 시대적 변화와 다양한 가족의 모습에 부응할 수 있는 새로운 통합과 전환이 필요하다는 것
        • 그 동안 발전된 가족상담 이론 고유성 인정 + 여러 이론의 통합적 사용
        • 상황/맥락/치료자 선호에 따라 다차원적인 접근
참고 영상

https://youtu.be/8AI4lLBN26Q

 

728x90
반응형
LIST